대통령 선거일 임시 공휴일, 6월 3일, 대선 날! 그냥 쉬는 날일까요? 아니면 출근하면 더 버는 날일까요? 수당과 유급 여부,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요즘 달력을 보다 보니 2025년 6월 달이 유난히 반갑더라구요. 대통령 조기 선거로 인해 6월 3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거든요. 마침 현충일까지 있어 6월 초 연휴를 꿈꾸는 분들도 많을 텐데요. 하지만 중요한 건, 이 날 쉬는 게 유급인지 무급인지, 혹은 출근하면 얼마를 더 받는지! 저도 회사를 다니는 입장에서 이게 제일 궁금했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6월 3일 대통령선거일의 공휴일 수당과 유급휴일 기준을 알려드릴게요. 5인 이상, 미만 사업장 차이부터 대체휴일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 테니 끝까지 함께해 주세요!
목차
대통령선거일은 왜 유급 공휴일일까?
2025년 6월 3일은 대통령 조기 선거일로 지정되며, 헌법 제24조에서 보장하는 국민의 기본권 중 하나인 선거권 행사를 위한 날입니다. 이 날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2조에 따라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며, 유급휴일로 인정됩니다.
따라서 5인 이상 사업장에 속한 근로자는 해당일에 출근하지 않더라도 통상임금의 100%를 유급휴일 수당으로 받게 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른 휴일 규정과도 연결되죠. 반면,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이건 다음에서 자세히 다뤄볼게요.
5인 이상 사업장, 선거일 근무 수당은 얼마?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5인 이상 사업장에서 대통령선거일인 6월 3일에 근무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수당은 다음과 같습니다.
근무 형태 | 지급 수당 |
---|---|
출근 없이 휴무 | 80,240원 (유급휴일 수당 8시간 기준) |
8시간 근무 | 200,600원 (유급휴일 + 휴일근로수당 포함) |
10시간 근무 | 241,800원 (연장근로 포함) |
5인 미만 사업장은 유급휴일이 아닐까?
맞습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법적으로 유급 공휴일을 제공할 의무가 없습니다. 따라서 선거일에도 출근하지 않는다면 무급이며, 출근하더라도 추가 수당은 없고 단순히 근무한 시간에 대한 통상임금만 지급됩니다.
- 출근 없이 휴무: 임금 없음
- 8시간 근무: 80,240원
- 10시간 근무: 100,840원
2025년 공휴일, 총 쉬는 날과 근무일 정리
2025년은 대통령 조기 선거로 인해 기존의 공휴일에 하루가 더 추가되었습니다. 총 공휴일은 20일, 이 중 주말과 겹치는 2일을 제외하면 실제 유급 공휴일은 18일입니다. 여기에 주말까지 포함하면 총 휴무일은 122일!
항목 | 일수 |
---|---|
평일 공휴일 | 18일 |
주말(토·일) | 104일 |
총 휴무일 | 122일 |
실제 근무일 | 243일 |
대체휴일 지정은 어떻게?
선거일에 출근하게 되면 대체휴일을 지정해 줄 수도 있습니다. 단, 대체휴일은 무조건 근무자가 실제로 쉬는 날이어야 하며, 주말이나 이미 쉬는 비번일로 지정하면 안 됩니다.
대체휴일을 지정할 경우, 원래 선거일에는 가산수당 없이 통상임금만 지급되며, 대체된 날에 쉬면 유급휴일로 인정받게 됩니다.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명확한 합의가 필요하겠죠.
선거일 수당 총정리 표로 보기
- 출근 안 하면 5인 이상 사업장: 유급, 5인 미만: 무급
- 8시간 근무 시 수당: 5인 이상 200,600원 / 5인 미만 80,240원
- 10시간 근무 시 수당: 5인 이상 241,800원 / 5인 미만 100,840원
2025년 대통령 선거일은 유급휴일인가요?
네,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법정 공휴일로 유급휴일이 적용됩니다. 출근하지 않아도 통상임금 100%를 받을 수 있어요.
5인 미만 사업장은 유급휴일 적용이 되나요?
아니요. 근로기준법 적용이 일부 제외되는 5인 미만 사업장은 유급휴일 의무가 없어서 무급으로 처리됩니다.
선거일에 근무하면 수당은 얼마나 받나요?
5인 이상은 유급휴일 수당 + 휴일근로수당 포함해 최대 2배까지 지급되며, 10시간 근무 시 24만원 이상 받을 수 있어요.
대체휴일은 어떤 경우에 가능한가요?
선거일에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평일 중 하루를 유급 대체휴일로 지정해 쉴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요. 단, 실제로 쉬어야 인정됩니다.
5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가산수당 받을 수 있나요?
아쉽게도 불가능해요. 출근하더라도 휴일근로나 연장근로 가산수당은 적용되지 않고, 단순히 근무 시간만큼의 임금만 지급됩니다.
선거일 포함 6월 연휴는 얼마나 쉴 수 있나요?
6월 3일 대선과 6월 6일 현충일 덕분에 6월 첫째 주에 최소 이틀은 쉬게 됩니다. 연차를 붙이면 황금연휴도 가능하죠!
2025년 6월 3일 조기 대통령선거일, 그저 한 번 쉬는 날로 생각하셨다면 오늘 포스팅이 조금은 새로운 시각을 드렸길 바라요. 사업주든 근로자든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으니까요. 유급휴일 적용 기준부터 수당 차이까지 꼼꼼히 확인하시고, 필요한 경우엔 대체휴일까지 적극 활용해 보세요. 혹시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같이 고민하고, 함께 해결해요